반응형



안녕하세요!

문모닝입니다!


문모닝의 IT_06.스마트 페이(Smart Pay)


발전하는 과학기술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부합하는

IT의 트랜드를 하나하나 살펴보는

문모닝의 IT!



오늘은 핀테크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 페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핀테크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핀테크(FinTech)란 금융을 뜻하는 Finance와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의 합성어로

IT기술과 금융업의 융합을 통한 금용서비스 및 관련 산업의 변화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금융서비스의 변화로는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

새로운 IT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금융기법과는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금융서비스 혁신이 대표적이며

최근의 사례에는 흔히들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뱅킹앱카드 등이 있답니다!


산업의 변화로는 혁신적인 비금융기업(IT기업 등)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지급결제와 같은 금융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현상을 들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삼성페이, 애플페이, 알리페이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 페이



전 세계적으로 IT와 금융의 융합 트랜드는 꾸준히 확산되고 있는 중이며

국경간의 상거래가 급증하고 있고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 또한 꾸준히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결제 시장 세계 규모모바일 결제시장 국내 규모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 규모 (가트너)                                                         ■국내 모바일 결제 시장 규모 (단위: 십억 원)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핀테크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영국 재무부는 2014년 8월에 핀테크 산업육성 지원계획을 발표한 바가 있죠.



세계 핀테크 투자 규모핀테크 투자 규모 성장률


   ■전세계 핀테크 투자규모 (자료: Accenture analysis od CB Insights data)          ■핀테크 투자규모 성장률 추이 (자료: Accenture(2014.4), FT(2014.4) )           











전세계 핀테크 시장은 이렇게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규제에 따른 서비스 제한과 금융 보안에 대한 우려로

초기에는 다소 소극적인 편이었지만

IT강국답게! 

최근 IT와 금융 융합 산업의 성장속도는 무시무시할 정도랍니다.


[자료출처: 금융위원회(http://www.fsc.go.kr) 금융용어사전]



최근 인터넷 전문은행인

K뱅크가 출범했던바가 있지요.

조만간 카카오뱅크 역시 출범할 예정이라고 하고

그 외에도 각종 간편결제,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이 진화하고 있는 걸 보면

역시 대세는 모바일인가 봅니다.




이러한 핀테크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분야가 존재하다 보니

각기 다른 관점이 나오기도 한답니다.


금융을 중심에 두고 IT가 금융사업을 돕는다는 해석과

IT기술이 금융산업을 뿌리부터 뒤흔들고 있다는 관점에 의해

핀테크 열풍을 이해하려면 기술을 중심으로 읽어야 한다는 해석이 그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른 포스팅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mart Pay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스마트페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페이

간단하게 인증절차를 마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결제하는 서비스입니다.

애플페이, 삼성페이 등 여러 기업에서 개발, 보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많이들 접해보셨을 겁니다.


신용카드도 아닌 휴대폰이 어떻게 결제를 대신할 수 있는 걸까?

궁금증을 가질 수 있는데요,

결제정보가 인증된 스마트폰은

NFC(근거리무선통신) 또는 MST(마그네틱 보안 전송) 기술을 사용해서

상점의 NFC단말기 또는 마그네틱 결제단말기를 통해

결제정보를 전송하게 됩니다.

결제정보가 정확한 것이 확인되면

결제가 진행되는 개념이죠.


Moon Morning Smart Pay



국내에서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스마트 페이 서비스로는

삼성페이 애플 페이를 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삼성의 본진 국가인 것 치고는 아이폰의 점유율이 꽤 높은편이라

애플페이를 도입하기에는 좋은 조건의 시장입니다.

다만, 아이폰의 점유율이 절대적으로 높은 것은 아니고 상대적으로

약 20%대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니 선방하고 있다 정도로 봐야겠죠.

(일본의 경우 50~60% 수준,

중국은 20% 수준의 꾸준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지만 중국 인구 수를 감안하면..)



조금 살펴보면 두 서비스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간단하게 정리하면

삼성페이는 MSTNFC 기술을 둘 다 사용하여

결제단말기와 통신을 하고

애플페이는 NFC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한다는 점입니다.


삼성이 NFC 보급률과 보급가능성을 판단해서

기술을 채택한 결과라고 보여지는데요,

사실 전 세계 어느 곳이든 상점에

NFC 단말기가 보급된 곳이 많지 않기 때문에

범용성 측면에서 해당 단말기 없이는 결제가 불가능한 애플보다

기존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마그네틱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인

MST를 채택한 삼성이 유리하다는 평가입니다.











그리고 기술적인 부분 이외에도

수수료 문제도 볼 수 있는데요

애플페이로 결제 시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수수료는 0.15%입니다.

구매자나 가맹점에게 발생하는 수수료가 아닌

신용카드 회사에 붙는 수수료가 0.15%라면

국내 신용카드 회사들이 애플페이에 제휴협력을 하기에는

다소 메리트가 적어보입니다.

(삼성페이는 결제 수수료가 0%니까요)


종합해볼때

애플페이가 국내에서 상용화되기에는

당분간 쉽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국내에서 점점 마그네틱 방식의 결제방법을 지양하고 있고

NFC를 차세대 수단으로 본다면

애플페이는 점점 범용성이 높아질 수 있으니

앞으로 시장방향이 어떻게 변화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이제 인구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고

이로 인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핀테크는 점점 큰 폭으로 발전될 전망인데요,


그 중에서 스마트 페이라는 기술이 이 시장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생활을 바꿀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